티스토리 뷰
다음 경기 진행 확인 팝업 추가
플레이 테스트 중에 키를 잘못 눌러서 할 일을 마무리 짓지 못하고 경기 진행으로 넘어가신 분들이 많아서 확인 팝업을 추가했다. Y 버튼을 누르면 다음 경기로 진행할 지 한 번 확인하는 팝업들 띄워주는 식으로. 마우스로 플레이할 경우 이런 실수를 할 일이 거의 없을 것 같은데, 패드는 특성상 어쩔 수 없이 버튼을 잘못 누르는 실수가 발생하는 것 같다.
컷씬 스킵 추가
새 팀 만들 때 맨 처음 게임 오프닝 스킵하는 기능 추가. 개발할 때 오프닝 계속 보는거 귀찮기도 하고..
선수 머리 애니메이션 추가
선수별 머리 스타일을 추가했는데, 정보 창에서는 적용했지만 애니메이션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머리 움직임 처리 때문에 적용을 늦추고 있었다. 간단한 위치 조정만 해주면 되는데 이 작업을 매번 (머리카락 종류) * (선수 애니메이션 프레임수) 만큼 다시 하는건 너무 의미없는 노가다인 것 같아서 정지 상태에서의 머리카락 이미지만 있으면 선수 애니메이션에 맞춰서 자동으로 움직여야 하는 만큼 움직여주는 구현을 진행했다.
그래서 이런 식으로 선수 애니메이션 이미지에 기준점을 데이터로 집어넣고 이걸 이용해서 컴퓨터에서 머리 위치를 어디로 잡아줘야하는지 계산하게 했다. 이미지가 커서 잘 안보이는데, 머리 왼쪽 위 부분에 빨간 점이 하나 찍혀 있다. 프레임마다 이 점을 기준점으로 삼는 것.
확대해서 보면 이런 느낌.
이렇게 점을 찍은 걸 기반으로 애니메이션이 각 sprite를 재생하고 있을 때 머리를 어느 위치에 보여줘야하는지를 계산했다. 처음에는 그냥 이렇게 해서 머리는 별도의 게임 오브젝트로 분리한 다음에 이 위치만 따라다니게 해 주려고 했는데, 이렇게 하니 z-fighting 문제가 생겼다. 머리랑 캐릭터가 같은 order면서 머리는 캐릭터보단 앞에 보여야하는데, 여러 오브젝트가 같이 있을 때 머리랑 캐릭터랑 따로 노는 문제가 발생한 것. 이 순서 처리가 좀 많이 까다롭고 귀찮아서 그냥 머리 이미지랑 위치 정보 주어졌을 때 둘을 합쳐서 그리는 셰이더를 따로 만들었다. 만드는 과정에서 sprite atlas 관련 좌표 처리때문에 좀 고생을 했다.
그래서 이제 이런 식으로 애니메이션에서도 선수 헤어 스타일 적용된 걸 확인 가능.
'개발 일지 >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7-09 악마 (0) | 2020.07.09 |
---|---|
2020-07-08 연출 개선 (0) | 2020.07.08 |
2020-07-06 결계사 (0) | 2020.07.06 |
2020-07-03 방패병 추가 (0) | 2020.07.03 |
2020-07-02 부메랑 헌터 (0) | 2020.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