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한참 고생한 끝에 드디어 어느 정도 플레이 데이터를 쌓는 봇을 쓸 수는 있는 정도로 기틀을 잡는데 성공했다. 아직 봇의 플레이 데이터로부터 지표를 어떻게 뽑아야 밸런싱에 도움이 될지를 정한다든가, 선택지를 고르는 과정에서 각 선택지를 유의미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좀 더 보완한다든가, 봇의 작동 시간을 좀 더 최적화한다든가 하는 등등의 작업들이 많이 남아있긴 하지만.. 그래도 뭐든 일단 동작하는 걸 만드는게 개선하는 것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니 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 걸 만드는데 성공했다는 점에 만족. 이제 이걸 조금씩 다듬어가면서 본격적으로 밸런싱을 진행해볼 수 있을 것 같다.

계속해서 플레이 데이터를 쌓을 수 있는 밸런싱용 플레이 봇 작업 중. 어느 정도 진전이 있어서, 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스테이지 1을 컴퓨터 플레이로 클리어에 성공하기는 했다. 다만 클리어까지 걸리는 시간에 편차가 너무 크고 실제 밸런싱 용 데이터를 뽑기에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아서 좀 더 많이 다듬을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오늘은 플레이봇을 돌리고 실험하면서 짬짬이 자잘한 버그와 개선사항 작업, 특성 구현 작업을 진행했다. 재료상자 풀 업그레이드 이미지 적용. 스테이지 진행에 따른 테마 변경도 적용했다.

그간 계속해서 밸런싱 작업과 시뮬레이션 안정화 작업에 시간을 썼다. 밸런싱 툴 작업이 생각보다도 훨씬 어려워서 시간을 더 많이 써야할 것 같다. 작업 특성상 도중에 결과를 기다리면서 붕뜨는 시간이 많아 밸런싱 툴 작업과 함께 진행할 수 있는 자잘자잘한 개선 작업을 같이하고 있다. 몬스터 이동 경로 표시 몬스터가 이동하는 경로에 해당하는 타일을 나무바닥으로 바꿨다. 결과 화면 개선 클리어 조건에 따른 구분과 clear / gameover 여부를 더 잘 나타내게 변경. 서빙 테이블 표현 변경 서빙 테이블에 올라가있는 요리의 표현 방식 변경 / 클론 그림자 추가.

계속 같은 작업을 하는 중. 시뮬레이션의 경우 아래와 같은 요소를 조금 더 개선했다. - 병렬 처리 판단에서 현재 free 상태는 아니지만 시간이 지나면 free가 됨이 확실한 경우도 포함해서 고려하게 바꿔서 좀 더 많은 작업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게 변경 - 맵이 여러 컴포넌트로 나뉘어있을 때 작업을 진행하는 루트 판별 버그 수정 - 각 요리별 진행이 균등하게 진행되도록 변경 밸런싱 툴 쪽 측면에서도 각 업그레이드의 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들을 계속 고민하고 있는데, 일단 업그레이드의 효율에 배치가 끼치는 영향을 빼고 계산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가장 문제. 같은 업그레이드 상황이어도 배치를 어떤 식으로 하느냐에 따라 뽑을 수 있는 효율의 수준이 달라서 특정 업그레이드가 얼만큼 효율을 높여주는지 판별하기..

요 며칠은 계속 밸런싱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했다. 게임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강화 옵션들이 가진 효과를 밸런싱하려면 일정한 기준이 필요한데, 워낙 다양한 시너지가 존재하고 배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도 옵션의 효율이 달라져서 이런 부분을 좀 쉽게 밸런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계속 연구하는 중. 게임 속의 수많은 조합을 일일히 플레이해서 밸런싱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서 어떤 식으로든 밸런싱의 근거가 될 자료를 효율적으로 만들고 개선할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시뮬레이션 부분도 여전히 고쳐야할 점이 많아서 밸런싱 툴 작업을 하면서 조금씩 고치는 중. 오늘은 병렬 처리로 인해 요리 작업이 멈춰버리는 문제를 고쳤다. 기존에 시뮬레이션이 비는 클론이 있을 경우 무조건 새로운 작업을 할당하고 진행하는..

지난주에 이어서 시뮬레이션 개선 작업을 진행했다. 이제 기본적인 틀은 잡힌 상황이어서, 오전에는 우선 요리 진행 중 애니메이션 반영이라거나, 주방 현황 정보 업데이트, 시뮬레이션 도중 도구 / 클론의 삭제 등 상황에 대한 처리 등 안정화 작업을 진행했다. 임의의 삭제 상황에 대한 처리. 오후에는 특성 시스템 적용을 위한 UI 기반 작업을 좀 진행했다. 특성 시스템이 작업이 먼저 작업이 좀 되어야 밸런싱이나 여타 컨텐츠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이쪽도 어느정도 쓸 수 있게 만들어놓고, 시뮬레이션 관련 추가 작업을 마저 진행할 생각. 특성 편집 기능을 반영한 새게임 팝업 UI 변경.